루비, 루비 온 레일즈 설치하기(윈도우)
1. Ruby 설치하기!
http://rubyinstaller.org/downloads/
로 가서 Rubyinstaller를 다운받습니다.
그리고 받은 exe 파일을 실행시켜서 다음을 누르다보면
여기서 Td/Tk는 루비로 GUI 개발을 할 때 사용되는 것이므로 체크하지 않고, 나머지 두 개는 필요하니 체크를 하고 루비를 설치해줍니다.
그리고 윈도우키+R 을 누르면 실행창이 뜨는데 여기다가 cmd를 입력하고 들어가서 ruby -v 라고 쳐봅니다.
이렇게 잘 나온다면 루비의 설치는 잘 된겁니다!!!
2. Development Kit 설치하기!
하지만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....!
루비 온 레일즈를 설치해서 사용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입니다!
그렇다면 레일즈 프로젝트를 위해서는 Development Kit 이란 것이 필요합니다
여기서 보시고 알맞는 버전의 DebKit을 받아서 실행시켜봅시다.
여기서 보면 어디다가 다운받을지를 정하라고 하는데 요 경로를 루비가 설치된 경로에 DevKit이라는 폴더를 만들고 그 폴더로 해줍시다.
그리고 DevKit이 다 받아졌다면 다시 cmd창을 열어서 DevKit이 설치된 경로로 가서 아래의 커맨드로 설치를 해줍시다.
요렇게 ruby dk.rb init을 하고 그 다음에 ruby dk.rb install 을 해줍니다.
결과가 저랑 똑같이 뜨신다면 설치가 잘되신겁니다!
이제 거의 다 왔습니다!
다시 cmd창을 열어봅시다.
Ruby에는 Gem이라는 것이 있는데 다른 언어의 라이브러리라고 생각됩니다. gem을 업데이트 시켜줍시다.
gem update --system
이 명령어를 입력해주면 뭔가 쫘자작 하고 올라가고 업데이트 되었다고 뜹니다. 성공한 겁니다.
3. Ruby on Rails 설치하기!
그러면 이제 대망의 Ruby on Rails를 설치할 차례입니다!
를 해주게 되면 알아서 척척 설치해줍니다! 시간이 조금 걸립니다! 마실거라도 마시고 계신다면 완료될겁니다!!!
설치가 다 되었다면 확인을 해봐야겠죠?!
원하는 곳에 폴더를 하나 만들고 그 폴더로 이동해줍시다.
그리고
rails new <프로젝트명>
이렇게 입력을 하게되면 뭔가 쭉쭉 create됩니다.
이 명령어는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해줍니다.
그 다음에는 방금 생성한 그 프로젝트의 폴더로 들어간 다음
rails server
를 입력하게 되면 방금 생성한 프로젝트가 실행됩니다!
이제 웹 브라우저를 켜고 localhost:3000 으로 들어가게 되면!!
위와 같이 이쁘장한 레일즈 페이지가 나오게 됩니다!
드디어 루비, 루비 온 레일즈를 다 설치하고 실행까지 해봤습니다.
저도 이 부분에서 삽질을 꽤 해서 다른 분들은 그러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으로 올려보았습니다.
아직 레일즈에 대해서 공부가 부족하지만 그래도 열심히 해서 다음 포스팅으로 오겠습니다 :)
지금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!
'Ruby > Ruby on Rail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프레임워크의 장단점과 라이브러리와의 차이점 (0) | 2016.02.13 |
---|---|
퍼펙트 루비 온 레일즈 구입! (0) | 2016.02.13 |
Gemfile, Bundler 개념 (0) | 2016.01.29 |
새로운 Project 만들기 (0) | 2016.01.26 |
루비 온 레일즈 기본 개념잡기 (0) | 2016.01.18 |